Skip to main content

이처럼 사소한 것들

20250513_212535.jpg

이 달에는 클레어 키건의 '이처럼 사소한 것들'을 토론했다. 책이 얇지만 깊이가 있어 두 번을 읽어야 한다고 주제자가 당부했던 책이다. 

독후 통감

지난 4월 토론 직후에 토론책이 정해져서 일찍 읽기를 시작했다. 스토리는 복잡하지는 않지만 복선이 깔린 문장이어서  이해 안되는 문장들이 가끔 보였다. 그런 문장들은 인공지능 클로비서에게 답을 구하여 아해를 구했다.

주인공 펄롱은 내향적인 성격이면서 삶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다. 자신의 출생과 어머니의 삶에 대하여 늘 짐을 지고 살아 갔다. 그 짐으로 인하여 오히려 일반 사람보다 어렵고 불쌍한 주변에 대하여 관심을 갖은 것 같다.

펄롱이 자신의 딸들과 부인에게도 이웃처럼 인간적인 고민을 하면서 하루 하루 삶을 이어 갔다. 고민의 매일 매일은 자아 성찰의 시간으로 세탁소에 어린 소녀를 구출하게 된 원동력이 됐다.

펄롱의 일반적이지 않은 선택과 결정으로 주인공의 삶이 걱정되지만 작가는 독자의 상상에 맡기는 것으로 스토리를 마무리했다. 이 사건은 현실에서 결코 사소하지 않은 이야기여서 더욱 빛 나는 행위이다. 주인공의 행동하는 양심은 이 책의 작품성을 한껏 올려 주는 핵심으로 보인다.

토론 주제와 답변

◾ 읽으면서 밑줄 친 부분을 서로 나누기

펄롱는 미시즈 윌슨을. 그분이 날마다 보여준 친절을, 어떻게 펄롱을 가르치고 격려했는지를, 말이나 행동으로 하거나 하지 않은 사소한 것들을, 무얼 알았을지를 생각했다. 그것들이 한데 합해져서 하나의 삶을 이루었다. (120쪽)

  • 친절은  받아 들이는 사람에 따라 고맙거나 무시할 수 있다. 결국 받아 들이는 사람의 성향에 따라 학습의 효과가 다를 수 있다..

  • 펄롱은 미시즈 윌슨의 친절을 순수하게 받아 들이고 그런 친절을 몸으로 체득하게 되었다. 평생을 살아 오면서 몸에 배인 친절은 자연스럽게 세탁소 소녀를 구하는 이타적안 행동을  실천하게 됐다고 본다. 

◾ 작가의 세상에 대한 시선 의견 나누기

  • 클레어 키건은 1968년 농촌(위 클로우즈)에서 태어나  저널리즘과 출판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다. 작품은 아일랜드 시골을 배경으로 하여 인간관계와 고립, 소속감 등을 탐구한다.

  • 일상적인 사건들 속에 숨겨진 심리적 진실과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해내며. 인간 본성의 다양한 측면을 드러낸다.

  • 키건은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감정적 효과를 끌어내는 함축적 문체를 사용하며, 이는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를 간결하게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라고 평가받는다.

  • 그녀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종종 억압된 감정, 말하지 못한 진실, 그리고 내면의 갈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복잡한 심리 상태를 미묘한 행동과 대화를 통해 표현한다.

  • 키건은 특히 아동과 청소년 인물을 통해 순수함과 잔혹함이 공존하는 인간 본성의 양면성을 탐구하며, 이들의 관점을 통해 성인 세계의 모순과 위선을 드러낸다.

  • 가족 관계, 특히 부모-자녀 간 역학 관계에 대한 심리적 탐구는 키건 작품의 핵심 요소로, 애정과 학대, 보호와 방치 사이의 미묘한 경계를 세밀하게 묘사한다.

◾ 내가 찾아가는 찬란한 빛은 지금 어디에 놓여있는가 혹은 어떤 모습인가

  • '이처럼 사소한 것들' 소설에서 찬란한 빛의 의미는 다양한 상징적 층위를 가진다. 이 작품에서 빛은 주로 희망, 깨달음, 그리고 진실의 순간을 상징한다. 주인공이 어둡고 고통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때때로 경험하는 빛의 순간들은 삶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발견하는 순간을 나타낸다. 또한 빛은 주인공의 내면 성장과 자기 인식의 과정을 상징하며, 과거의 상처와 트라우마에서 벗어나 치유로 나아가는 가능성을 암시한다. 키건은 이러한 빛의 이미지를 통해 일상의 사소한 순간들 속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초월적 경험과 연결의 순간들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결국 소설 속 찬란한 빛은 인간 존재의 복잡성과 삶의 역설적 아름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핵심 장치로 기능한다.-클로 생각-

  • 60 여 평생 살던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여 파주사람들에게 지적인 만족을 주었으면 하는게 찬란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 이처럼 사소한 것들과 비슷한 영화 추천

  • 영화를 본 기억이 없다

◾ 내가 이 상황에 놓여있었다면 어떻게 행동했을까?   가족들은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는 것에 어떤 반응이 있었고 펄롱은 어떤 생각에 잠겼을까?(결론)

  • 펄롱의 가족과 이웃은 펄롱의 어려운 삶을 알지 못한다. 그래서 펄롱의 행동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감하는 이웃과 함께하는 공개적인 방법을 선택할 것 같다.

문장과 생각

주제자가 선정한 문장들에 대한 개인적인 답변이다.

● 늘 이렇지, 펄롱은 생각했다. 언제나 쉼 없이 자동으로 다음 단계로 해야 할 일로. 멈춰서 생각하고 돌아볼 시간이 있다면, 삶이 어떨까. 펄롱은 생각했다. (29쪽)

  • 사람은 생을 위해 반복적인 일상을 영위할 수 밖에 없다.그렇지만 펄롱은 일상 속에서 철학적인 사고를 갖은 것 같다. 그 점은  아버지를 모르는 것과 펄롱과 펄롱의 엄마에 친절을 베푼 미시즈 윌슨이 왜 다른지를 생각하는 시간을 맞이 갖게 되었을 것이다.   

  • 그런 시간이 펄롱에게는  철학적인 사고를 갖게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쉬엄쉬엄해야지. 그러다가 당신 자신한테 따라잡히겠어. (38쪽)

  •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 일하게 되면 자신의 건강에 무리가 간다.

● 마흔을 바라보는 나이가 되었는데 어딘가로 가고 있는 것 같지도 뭔가 발견하는 것 같지도 않았고. 이 나날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나 하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다. (44쪽)

  • 인생에 대한 고민 중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 부분은 아직 세탁소 여자아이를 만나기 이전이다.

● 펄롱은 더는 아무 말도 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하고 건물 밖으로 나가 문을 닫았다. 현관 계단에 서 있는데 안에서 누군가가 열쇠로 문을 잠그는 소리가  들렸다. (83쪽)

  • 세라 레드먼드 아이의 자세한 질문을 자제해햐 하는 분위기이다.

● 주고받는 것을 적절하게 맞추어 균형 잡을 줄 알아야 집 안에서나 밖에서나 사람들하고 잘 지낼 수 있단 생각 했다. 그러나 이런 생각을 하는 순간 이런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특권임을 알았고 왜 어떤 집에서 받은 사탕 따위 선물을 다른 더 가난한 집 사람들에게 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102~103쪽)

  • 사람들응 자신의 환경 안에서만 사고하고 행동하자먼 펄롱은 생각이 깊은 심성을 갖고 있다.

● 그게 무슨 의미일지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펄롱으로 하여금 자기가 더 나은 혈통 출신이라고 생각하게 만들고서, 그 세월 내내 펄롱의 곁에서 변함없이 지켜보았던 네드의 행동이. 나날의 은총이 아니었나. 펄롱의 구두를 닦아주고 구두끈을 매주고 첫 면도기를 사주고 면도하는 법을 가르쳐주었던 사람이다. 왜 가장 가까이 있는 게 가장 보기 어려운 걸까? (111쪽)

  • 익숙해 진다는 것은  편리함이다.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어 편안한 관계인 것이다.

● 두 사람은 계속 걸었고 펄롱이 알거나 모르는 사람들을 더 마주쳤다. 문득 서로 돕지 않는다면 삶에 무슨 의미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나날을. 수십 년을. 평생을 단 한 번도 세상에 맞설 용기를 내보지 않고도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부르는 거울 앞에서 자기 모습을 마주할 수 있나? 펄롱은 자신의 어떤 부분이. 그걸 뭐라고 부르든 –거기 무슨 이름이 있나? -밖으로 마구 나오고 있다는 걸 알았다. (120쪽)

  •  종교적 정체성(기독교인)과 실제 행동 사이의, 특히 '세상에 맞설 용기'를 내지 않는 위선적 자세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펄롱 내면의 어떤 본질적 부분(이름조차 정확히 알 수 없는)이 밖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묘사하며, 이는 그의 도덕적 양심이나 진정한 자아가 각성되는 순간을 암시한다.

● 펄롱는 미시즈 윌슨을. 그분이 날마다 보여준 친절을, 어떻게 펄롱을 가르치고 격려했는지를, 말이나 행동으로 하거나 하지 않은 사소한 것들을, 무얼 알았을지를 생각했다. 그것들이 한데 합해져서 하나의 삶을 이루었다. (120쪽)

  • 자신의 하나의 행위는 과거의 수 많은 행동이 모여서 나타나는것으로 보인다.

● 자기 집으로 가는 길을 맨발인 아이를 데리고 구두 상자를 들고 걸어 올라가는 펄롱의 가슴속에서는 두려움이 다른 모든 감정을 압도했으나, 그럼에도 펄롱은 순진한 마음으로 자기들은 어떻게든 해나가리라 기대했고 진심으로 그렇게 믿었다. (121쪽)-나라면 

  • 주제토론 5번과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