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2025.3.11

0311물고기1.jpg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Why FIsh Din't Exist'를 토론했다. 책 제목이 호기심을 갖게하여 평상시보다  책을 일찍 주문했다.

독후 통감

필자는 대부분 책의 목차를 살펴보고 에필로그나 서평을 읽기 시작한다. 그 다음부터는 목차에서 눈에 띄는 챕터를 골라서 본문을 읽기 시작한다.  조던의 책도 같은 방식으로 읽었지만 밀러와 조던이 다른 사람이라는 생각을 못하고 중간 정도까지 읽었다.

조던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된 호기심과 과학적인 탐구 정신에 감동 받으며 읽어 갔다. 제인 스텐포드 부인을 독살하는 9장의  '세상에서 가장 쓴' 것을 읽다가 갑자기 나 자신이 무너지는 것 같은 증세가 일어났다.

조던이 자신이 추구하는 과학정신을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감동 받으며 읽어 가는 중이었다. 그렇지만 목적을 위해 타인을 이용하고 살해하는 것에 충격을 받은 것이다. 한 시간 정도 소파에서 누웠다가 앉아다가 했다 . 무엇인가 잊어 버린것 같은 상태였다  어디가 아픈 것 같은 생각도 들었다.

결국 안정을 찾기 위해 몇 년전 열심이 들었던 짚시 음악 중에 세르게이 트로파노의 '몰도바'를  1시간 정도 듣고 안정을 찾았다.

나는 올해부터 토론 주제를 복사하여 클로드라는 인공지능에게 물어 본다. 내가 이해하는 것보다 훨씬 잘 이해하고 답변해 준다.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것은 개인의 사고력을 마비시킬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앞으로 인공지능을 통해 답변을 구하는 방식에 대하여 긍정과 부정으로 나누어 토론이 필요하다고 본다. -wantdo-

나의 답변 

1.조던의 삶과 철학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데이비드 스타 조던의 삶과 철학은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뤄집니다.

조던은 혼돈의 세계에서 질서를 찾고자 했습니다. 그는 생물 분류학에 헌신하며 자연에 숨겨진 패턴과 체계를 발견하려 노력했습니다. 조던에게 분류 작업은 단순한 학문적 활동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의 철학적 핵심은 확실성에 대한 추구였습니다. 조던은 모든 것이 명확하게 분류될 수 있다고 믿었으며, 불확실성과 모호함을 참지 못했습니다. 이런 신념으로 그는 수천 종의 물고기를 분류하고 명명했습니다.

그러나 조던의 철학은 역설적입니다. 그가 발견한 많은 물고기들이 후에 재분류되거나 그의 분류 체계가 무너지면서, 그가 그토록 추구했던 확실성이 사실은 허상임이 드러납니다. 이는 책의 제목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가 의미하는 바이기도 합니다.

또한 조던은 우생학을 지지했는데, 이는 그의 질서 추구가 극단적 형태로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는 사회에도 자연에서처럼 분류와 통제가 필요하다고 믿었습니다. -claude-

2.밀러 아버지의 인생관(인생은 특별히 의미없음)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인생을 과정과 결과로 나누어 생각해야 한다고 본다. 결국 죽음에 이르렀을때에는 인생은 특별한게 없을 수 있다.

사는 과정에서는 모든게 특별할 수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은 특별하지 않게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wantdo-

3.밀러의 삶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룰루 밀러(Lulu Miller)는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의 저자로, 그녀의 성격과 삶의 방식이 책 전반에 드러납니다.

밀러는 호기심이 많고 탐구적인 성격을 지녔습니다. 과학 저널리스트이자 라디오 프로듀서로 일하며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데이비드 스타 조던의 삶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녀의 집요한 탐구 정신이 드러납니다.

불확실성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그녀의 특징입니다. 조던과 달리, 밀러는 세상의 무질서와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찾으려 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우울증과 개인적 어려움을 솔직하게 드러내며, 삶의 혼돈 속에서도 아름다움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밀러는 자신의 아버지와의 복잡한 관계, 성 정체성에 대한 고민, 파트너와 가족을 이루는 과정 등 개인적 경험을 책에 담았습니다. 그녀는 조던의 이야기와 자신의 이야기를 교차시키며, 확실성을 추구하는 조던과 불확실성을 받아들이는 자신의 대비를 통해 삶의 의미를 탐색합니다.

밀러는 열린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고정관념에 도전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삶의 방식을 보여줍니다.-claude-

4.'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생물 분류학에서 '어류'의 본질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물속에 살며 아가미로 호흡하고 지느러미가 있는 동물을 '물고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생물학적 관점에서 '물고기'는 실제로 단일 분류군이 아닙니다.

현대 분류학에서 '물고기'로 불리는 생물들은 여러 다른 계통에 속합니다. 상어와 가오리(연골어류), 연어와 참치(경골어류), 그리고 먹장어와 칠성장어(턱 없는 어류)는 모두 매우 다른 진화적 역사를 가집니다.

특히 중요한 점은 육상 척추동물(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이 진화적으로 경골어류의 한 그룹에서 파생되었다는 것입니다. 즉, 분류학적으로 정확하게 말하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육상 척추동물도 넓은 의미의 '물고기' 그룹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책 제목이 의미하는 바입니다. 우리가 '물고기'라고 부르는 것은 편의상 만든 인위적 범주일 뿐, 생물학적으로 통일된 자연 분류군이 아닙니다.-claude-


5.생명의 다양성, 진화, 우생학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생명의 다양성은 공릉천에만 가서 보아도 알 수 있다. 겨울에 철새-기러기, 청둥오리, 원앙새 -들이 있고 한 여름에는 잠자리, 매미, 지렁이, 달팽이 등등을 발견할 수 있다. 두더지 흔적과 눈 앞을 막는 날파리 등 너무 많다.

자전거도로에는 들고양이와 들개들이 보이고 애완견도 사람과 산책하고 있다. 그곳에서 생명의 다양성을 엿 볼 수 있다.

우생학은 다윈의 진화론에 따른 자연현상이라고 본다. 인간이 인간의 기준에 의한 인간의 우생학은 또 하나의 전쟁일 수 있다,  그 이유는 네안데르탈인은 4만년 전부터 감소하다가 28천년전에 멸종했다고 본다. 

이는 기후가 변화되고 협동적이고 의사소통하는 호모사피엔스의 출현으로 멸종 또는 호모사피엔스에 흡수된 것으로  보고있다. -wantdo-

*wantdo는 필자의 생각이고 claude는 인공지능의 답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