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본 인사동
2025년 8월의 토론 도서는 인사동에서 태어나고 자란 김정숙 작가의 "새로 본 인사동'이다. 나는 파주에서 태어나고 고등학교때 수원에서 학교 다닌 것 이외에는 파주에서만 살아 왔다.
여러가지 이유로 서울을 다녀 오지만 따로 인사동을 방문한 적은 기억에 없다. 주변에 경복궁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북촌마을을 들러 본 적은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인사동에 특별한 의미를 모르면서 살아 왔고 기회가 없었던 것이다.
인사동은 조선이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자리 잡은 곳이다. 1394년에 천도했으니 올해 2025년까지는 631년이 지났다. 옛 부터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숫자적으로 지금의 서울은 60여회 이상 강산이 바뀐 것으로 계산된다.
세상의 흐름이 바뀌는 시기마다 달라진 결과가 지금의 서울이다. 인사동은 그 동안의 수 많은 변화 속에서도 가장 적게 변하고 조선시대의 틀을 잘 이어 왔기에 칭송되고 있는 공간이 된 것으로 보인다.
과거의 색 다른 공간을 보고 느끼는 것도 볼거리이지만 면면이 이어온 그곳의 스토리는 현재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새로 보는 인사동이 아니고 아직도 보지 못한 인사동이다. 앞으로 기회가 있어 인사동을 찾을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한국 역사 중에 조선시대 말기와 일제 강점기, 해방후와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근대사를 들춰 볼려고 하지 않는다. 중국 대륙에서 빛 나던 고려의 기상과 이순신 장군이 보여 주는 지략과 겸손함을 더 기억한다. 현실을 인정해야 하는 객관적인 정신을 갖고 있어야 하지만 편견이 나를 지배하고 있다.
객관적이고 냉정한 정신을 갖으려고 굳이 인사동을 찾아야 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어느정도 세상을 알고 이해할 수 있는 때를 기다리는 것도 도리를 지키는게 순서라고 본다,
독후 통감 讀後統感
토론 주제와 내 생각
1.내가 가 본 곳은?
2.<새로 본 인사동>에서 특히 주목하고 싶은 인물이나 장소는 어디가 있을까요?
3.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인사동은 친일과 항일이 공존했던 곳인데요. 독립운동가 중 파주의 인물에 대해서 각자 한 명만 소개해 볼까요?